< 'ought to have p.p'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ought to have p.p2

조동사 have p.p (Perfect Modal Verbs) 총 정리 영어에서 법조동사(Modal Auxiliary Verb)의 뒤에는 동사가 원형의 형태로 오게 됩니다. 그리고, 각 조동사의 과거형태(could, would, might, should)는 사실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다른 의미를 전달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조동사의 과거표현을 위해서 우리는 뭔가 다른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지요. 이럴 때 많이 사용되는 것이 조동사의 완료형태입니다. 영어로는 Perfect Modal Verbs라고 말할 수 있지요. "조동사 have p.p"의 형태를 취하는 조동사 완료 형태의 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우선 12시제의 하나로 사용되는 미래완료시제의 형태인 "will have p.p"입니다. 이 경우는 유일하게 조.. 2024. 4. 10.
조동사의 용법 3. SHOULD/OUGHT TO/HAD BETTER 각 법 조동사별 세부 용법 정리의 3번째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동사 should, ought to, had better의 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동사 should과 ought to의 용법은 무엇입니까? 조동사 should는 shall의 과거형입니다. 다만, 최근에 shall은 "함께 ~을 할까요?"라는 권유의 뜻을 지닌 의문문 혹은 부가의문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중, 고등과정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should의 단독 용법인 "~해야만 한다"는 의미의 "도덕적 의무, 당위"용법을 주로 다뤄볼 것입니다. 시험에 많이 나오는 should의 용법 중에 가정법 현재 명사절에서의 should 생략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용법은.. 2024.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