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동사'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조동사3

조동사의 용법 3. SHOULD/OUGHT TO/HAD BETTER 각 법 조동사별 세부 용법 정리의 3번째 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동사 should, ought to, had better의 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동사 should과 ought to의 용법은 무엇입니까? 조동사 should는 shall의 과거형입니다. 다만, 최근에 shall은 "함께 ~을 할까요?"라는 권유의 뜻을 지닌 의문문 혹은 부가의문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중, 고등과정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should의 단독 용법인 "~해야만 한다"는 의미의 "도덕적 의무, 당위"용법을 주로 다뤄볼 것입니다. 시험에 많이 나오는 should의 용법 중에 가정법 현재 명사절에서의 should 생략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용법은.. 2024. 4. 9.
조동사의 용법 2. MUST / WILL (WOULD) 조동사의 용법을 정리하는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조동사를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싶으신 경우, 앞의 2개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처음부터 정리가 될 거예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법조동사인 Must와 Will(Would)의 용법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조동사 MUST의 용법은 무엇인가? 조동사 Must는 크게 2가지의 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용법은 "의무"로 "~해야만 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준조동사 "have to V"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Must는 다른 조동사와는 달리, 과거형이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과거에)~해야 했다."라는 의미로 쓰고 싶을 때는 "had to V"를, "(미래에)~해야만 한다"라는 의미로 쓰고 싶을 때는 "will have to V"를 사.. 2024. 4. 7.
일반 조동사(Auxiliary Verb)와 법 조동사(Modal Verb) 거의 대부분의 문법책에서, 조동사는 하나의 챕터 안에서 다양한 개별 조동사의 용법을 정리해 주는 형태로 설명됩니다. 하지만, 사실 조동사는 다시 2개의 범주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 흔히 조동사라고 하면 생각나는 단어들, Can, May, Must와 같은 조동사들은 주로 법 조동사, 혹은 Modal Verb라고 불립니다. 이들 조동사는 본동사로는 사용될 수 없으며, 서로 간에 비슷한 용법과 활용을 보입니다. 조동사의 또 다른 범주는 일반 조동사, 혹은 Regular Auxiliary Verb입니다. Be, Have, Do동사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들 조동사는 원래 본동사로도 사용되며, 주로 시제, 태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일반 조동사는 법 조동사와는 그 활용이 상당히 다르므로, 이 두 범주를 .. 2024.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