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조동사(Auxiliary Verb)와 법 조동사(Modal Verb)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이야기

일반 조동사(Auxiliary Verb)와 법 조동사(Modal Verb)

by Ms. Sue 2024. 4. 2.

 

거의 대부분의 문법책에서, 조동사는 하나의 챕터 안에서 다양한 개별 조동사의 용법을 정리해 주는 형태로 설명됩니다. 하지만, 사실 조동사는 다시 2개의 범주로 나눠질 수 있습니다.

 

흔히 조동사라고 하면 생각나는 단어들, Can, May, Must와 같은 조동사들은 주로 법 조동사, 혹은 Modal Verb라고 불립니다. 이들 조동사는 본동사로는 사용될 수 없으며, 서로 간에 비슷한 용법과 활용을 보입니다. 조동사의 또 다른 범주는 일반 조동사, 혹은 Regular Auxiliary Verb입니다. Be, Have, Do동사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들 조동사는 원래 본동사로도 사용되며, 주로 시제, 태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일반 조동사는 법 조동사와는 그 활용이 상당히 다르므로, 이 두 범주를 구분하여 특징을 알아 두는 것은 중요합니다.

 

법 조동사는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법 조동사는 태생적으로 조동사이며, 본동사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Can, May, Must, Will, Shall 등의 조동사가 이에 해당하며, 이들은 뒤에 본동사를 이끌어서 본동사의 의미에 "능력, 추측, 허가, 의지, 의무"등의 뜻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법 조동사는 과거형(일부 영문학자는 과거형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하여 조동사의 두 번째 형태라는 말을 선호하기도 합니다.)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법 조동사의 뒤에는 늘 동사가 원형의 형태로 옵니다. 

2. 법 조동사는 주어-동사 수일치에 의해 형태가 변화하지 않습니다

He cans swim. (X)     He can swim.  (O)

 

3. 2개의 법 조동사가 연달아 올 수 없습니다.

만약 두 가지 부가적인 의미를 본동사에 더하고 싶다면, 그 중 하나의 의미는 법 조동사가 아닌 준 조동사 등 다른 단어의 도움을 받아서 첨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내년 여름에 수영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라는 표현을 하기를 원한다면, "will can"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can"과 같은 의미를 가진 "be able to V"라는 준조동사의 도움을 받아서 문장을 완성합니다.(예문 참조)

I will can swim next summer.  (X)
I will be able to swim next summer.   (O)

 

 

일반 조동사는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일반 조동사는 법 조동사와는 달리 원래는 본동사로 사용되지만 "시제, 태"등을 나타낼 때, 본동사를 이끌어 조동사로서도 사용되는 Be, Have, Do 동사를 일컫습니다. 이들 조동사는 앞에 나열한 법 조동사의 특징과는 다른 특징을 보입니다.

 

1. 일반 조동사의 뒤에는 동사가 꼭 원형의 형태로 오지는 않습니다.

   일반동사 원형을 이끄는 Do동사의 경우를 제외하면,

    Be동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를, Have동사는 과거분사를 이끌게 됩니다.

I did solve the math problem.  (do동사 + 일반동사 원형 = 긍정문이면 동사의 강조)
I am doing homework.  (be동사 + 현재분사 = 진행시제)
The vase was broken.   (be동사 + 과거분사 = 수동태)
I have been to Jeju-do.    (have동사 + 과거분사 = 완료시제)

 

2. 일반 조동사는 주어의 수와 시제에 따라 형태가 변화합니다.

I am playing tennis.  /  He is playing tennis.
I have been studying English for an hour.   /   He has been studying English for an hour.

 

3. 2개 이상의 일반 조동사가 연달아 올 수 있습니다.

    일반 조동사는 법 조동사 뒤에 동사원형의 형태로 와서 본동사를 이끌 수도 있습니다.

I have been hired by the company. 
He will have come home by tomorrow.

 

대표적인 일반 조동사의 용법은 무엇인가?

 

1. Be 동사

Be동사는 본동사로는 "~에 있다 / ~이다"의 뜻으로 주로 1, 2 형식 문장에서 사용됩니다. Be동사가 조동사로 사용되는 경우는 크게, 진행 시제(be  ~ing)와 수동태(be p.p)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본동사:  There are many people in the square.   /  He is a very skillful engineer.
조동사:  He is working on the project.   /   The building was designed by a famous architect.

 

2. Have 동사

Have 동사는 본동사로는 "~를 가지다 / ~를 먹다 / ~가... 하도록 하다." 등의 뜻으로 다양한 문장에서 활용됩니다. 조동사로서의 Have동사는 완료시제(have p.p)와 완료진행 시제(have been ~ing)에서 과거, 현재, 미래에 따른 시제 변화를 하면서 활용됩니다.

본동사: I have a big house.  /  I had lunch with him.  / He had me help my friend.
조동사: I have lost my wallet.(현재완료)  /   The train had already left then.(과거완료)  /
             He will have met her by then.(미래완료) /  I have been waiting for her since 3 o'clock.(현재완료진행)

 

3. Do 동사

Do 동사는 일반동사로서 "~을 하다 / 충분하다"의 뜻을 가지지만, 조동사로서도 다양한 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Do동사는 일반동사의 의문문이나 부정문을 만들 때, 쓰입니다.

본동사:  We did our best.  /  This will do.(이것이면 충분할 거야.)
일반동사의 의문문, 부정문:  Does he know the truth?  /  He didn't know the truth.

 

Do동사는 또한 일반동사를 강조할 때도 사용되는데, 이 때는 "진짜 ~했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고 주로 긍정 평서문에 사용됩니다.

일반동사의 강조:   He did complete a marathon. 

 

Do동사의 또 다른 용법으로는 대동사가 있는데, 앞에 나왔던 일반동사구를 대신할 때 사용됩니다.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대답을 할 경우에나, 비교구문의 경우, 앞에 이미 나온 동사구의 반복을 피하려고 할 때, 간단히 do/does/did를 이용해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대동사:   He studies math and science much more enthusiastically than I did when I was young.
* 여기에서 did는 "studied math and science"를 대신합니다.

 

 

요약하면, 조동사는 조동사로만 사용되며, 동사원형을 이끌어 동사에  "능력, 추측, 허가, 의지, 의무"등의 뜻을 더해주는 법조동사와,  본동사로도 사용되지만, "진행 시제, 완료시제, 수동태, 강조" 등의 용법으로 쓰이는 일반 조동사(be, have, do)가 있으며, 이들의 용법은 차이를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