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동사의 용법 2. MUST / WILL (WOULD)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이야기

조동사의 용법 2. MUST / WILL (WOULD)

by Ms. Sue 2024. 4. 7.

조동사의 용법을 정리하는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조동사를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싶으신 경우, 앞의 2개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처음부터 정리가 될 거예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법조동사인  Must와 Will(Would)의 용법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조동사 MUST의 용법은 무엇인가?

 

조동사 Must는 크게 2가지의 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용법은 "의무"로 "~해야만 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준조동사 "have to V"와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Must는 다른 조동사와는 달리, 과거형이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과거에)~해야 했다."라는 의미로 쓰고 싶을 때는 "had to V"를, "(미래에)~해야만 한다"라는 의미로 쓰고 싶을 때는 "will have to V"를 사용합니다.

We must submit the report now.  우리는 지금 그 보고서를 제출해야만 한다.
We had to submit the report that day.   우리는 그 날 그 보고서를 제출해야만 했다.
We will have to submit the report tomorrow. = We must submit the report tomorrow
우리는 내일까지 그 보고서를 제출해야만 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

Must와 Have to는 긍정일 경우, 같은 뜻을 가지지만, 부정문이 되는 순간, 뜻이 전혀 달라집니다. "must not"은 "~해선 안된다(금지)"의 뜻을 나타내는 반면, "don't have to"는 "~할 필요는 없다"의 뜻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죠.

I must not stay here.   나는 여기 머물러서는 안돼.
I don't have to stay here.   나는 여기 머무를 필요는 없어.

 

참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의무"용법일 때의 Must와 Have to는 비슷하게 "의무"의 용법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Should나 Ought to 보다 일반적으로 좀 더 강제성을 띄는 의무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됩니다. 의무의 강도가 Must나 Have to가 더 세다고 해야 할까요?

 

Must의 또 다른 용법은 "강한 추측"으로 "~임에 틀림없다" 정도로 해석됩니다. 앞의 Can의 용법에서 다루었던 부정적인 추측을 뜻했던 Cannot의 "~였을 리가 없다"의 반대말 정도가 되지요.  이런 "추측"용법의 Must의 과거표현은 "must have p.p(~였음에 틀림없다)"를 씁니다.

 

Must의 용법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용법 유의 표현 과거 표현
의무 ~해야만 한다 have to V had to V로 대체
강한 추측 ~임에 틀림없다 - must have p.p

 

조동사 Will과 Would의 용법은 무엇입니까?

 

조동사 Will은 미래시제를 표현할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조동사입니다. "~할 것이다"로 해석되며, 일반적으로는 "be going to V"와 특별한 의미 변화 없이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제일치의 원칙에 따라 특정 과거 시점에서의 미래를 뜻할 때, Will 대신 Would가 사용됩니다.

He says that he will help me.   그는 나를 도울 것이라고 말한다.(현재 기준의 미래)
He said that he would help me.    그는 나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말한 시점에서의 미래)

 

 

Will은 Can과 마찬가지로 "요청"의 용법으로도 사용되는데, "~해 주시겠어요?" 정도의 의미를 본동사에 더해 줄 수 있으며, 보다 정중한 의미를 더하고 싶으면, "Would"를 사용하면 됩니다.

 

Would는 Will의 과거, 혹은 보다 정중한 표현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단독의 특수한 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과거의 불규칙적인 습관(현재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을 뜻하는 경우입니다. "~하곤 했다"로 해석되는 이 표현은, "과거의 규칙적 습관, 혹은 과거의 상태"를 뜻하는 "used to V"와 뜻은 같지만, 용례는 조금 다릅니다. "used to V"는 주로 과거에 규칙적으로 일어나던 일-예를 들면, 학교에 가는 것-에 대한 이야기나, 현재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과거의 상태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사용되지만, "would"는 과거에 불규칙적으로 하던 일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사용됩니다.

I would play tennis after school in my school days.  나는 학창 시절, 방과 후에 테니스를 치곤 했어.
I used to attend this kindertgarten.   나는 이 유치원에 다녔었어. 
There used to be a big tree around here.   여기에 큰 나무가 있었었는데...

 

 

조동사 Would는 다양한 관용표현에도 사용됩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would를 사용한 관용표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would like + 명사(또는 to V) : "~을 원하다"의 뜻으로 "want + 명사(또는 to V)"와 동일한 뜻

2. would rather + 동사원형 1 + ( than + 동사원형 2): "동사원형 2 하느니 차라리 동사원형 1 하겠다."

 

Will과 Would의 용법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용법 유의 표현 과거 표현
WILL 미래 ~할 것이다 be going to V would
요청 ~해 주시겠어요? can(could) -
WOULD 과거의 불규칙적 습관 ~하곤 했다 used to V(용례다름) -

 

요약하면, 조동사 MUST는 "~해야만 한다(의무)"의 뜻과 "~임에 틀림없다(강한 추측)"의 2가지 용법을 가집니다. 의무의 뜻일 때는 "HAVE TO V"와 같은 뜻이며, 강한 추측의 뜻일 때 과거형은 "MUST HAVE P.P"를 씁니다. 

조동사 WILL/WOULD는 기본적으로 "~할 것이다(미래)"의 뜻으로 쓰이며, "~해 주시겠어요?(요청)"의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WOULD는 단독으로 과거의 불규칙적 습관인 "~하곤 했다"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