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1

동명사의 형태과 용법 영어의 세 가지 준동사(Non-finite Verbs) 중에서 동명사(Gerunds)는 동사에 "ing"를 붙여서 명사의 역할을 하는 준동사를 일컫습니다. 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문장에서는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주로 하게 되지요. 동명사는 어떤 형태를 취하는가? 동명사의 기본 형태는 "동사 + ing"이며, 이 형태는 동사의 현재분사형과 같은 형태입니다. 다만, 현재분사가 형용사의 역할을 하면서 "~하고 있는, ~하게 하는"의 뜻으로 해석되는 반면, 동명사는 명사의 역할을 하면서 "~하는 것, ~하기"의 뜻으로 해석되지요. 준동사인 동명사도 부정사와 마찬가지로 부정형, 수동형, 완료형 등의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동명사의 부정형은 "not/never + 동사ing" 수동형은 "be.. 2024. 6. 30.
I Talk Like a River 매일 아침 한 소년은 주변의 모든 단어들의 소리와 함께 일어납니다.  창 밖의 "pinetree"의 "p, " 그 나무 위에 앉아 있는 "crow"의 "c, " 새벽하늘에서 서서히 희미해져 가는 "moon"의 "m"소리... 하지만, 소년은 그 단어들을 제대로 말할 수 없지요. And I can't say them all.  그리고, 나는 그들을 모두 말할 수 없어요. 그 단어들을 소년의 입에 뿌리를 내리고, 혀에 엉키고, 목 안에 들러붙고, 입술을 쓸어 내립니다. 그리고...I stay quiet as a mouse.  나는 생쥐처럼 조용히 있습니다. 학교에서 소년은 말할 필요가 없기를 빌며 뒷 자리에 숨어 있지만, 그가 말할 차례가 되면 모든 아이들은 뒤돌아서 소년을 바라보고, 소년의 입은 아침에 그.. 2024. 6. 30.
관용적인 표현에서 사용되는 부정사(독립부정사 포함) 부정사는 생각보다 많은 관용적인 표현에서 사용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들 표현들을 크게 "be 동사 + 형용사 + to 부정사"의 형태로 사용되는 표현, 독립 부정사, 그리고 기타 관용표현의 세 가지로 나눠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관용적 표현"은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원래의 의미와는 다른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를 뜻합니다. 이런 정의를 염두에 두고 오늘 포스팅에 나오는 표현들을 살펴보면, 사실 이것이 과연 관용적 표현인가에 대한 의문이 드는 경우도 많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하나의 chunk(덩어리)로 묶어서 외워두면 여러모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들 표현들을 한 번에 정리해 두는 것은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be 동사 + 형용사 + to 부정사  영어.. 2024. 6. 24.
[어원 에세이] Clinomania 요즘 주말이면 좀체 침대에서 몸을 일으키기가 어렵다는 생각을 하다가 갑자기 어디선가 봤던 이 단어가 생각나더군요 - Clinomania... 우리 말로는 번역조차 어려운 이 단어는 "excessive desire to stay in bed" 즉 "침대에 계속 머무르고 싶은 엄청난 욕구"를 의미합니다. "잠들지 않는 나라"인 한국에서, 24시간 쉼 없이 돌아가고 있는 인터넷과 social media의 영향 하에 있는 우리들에게는 어쩌면 달콤하게 들리는 욕망일 수도 있겠지요. 그리스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이 단어는 "기울기, 기울어진" 혹은 "침대"의 뜻을 가지고 있는 "clino"와 "조증, 무언가에 대한 열광 혹은 열광하는 행위"를 뜻하는 "mania"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clino"를 어.. 2024. 6. 23.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to 부정사를 비롯한 영어의 준동사들은 문장에서 동사의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동사의 성질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습니다(준동사 포스팅 참조).   그 동사적 성질 중에 대표적인 것 중 하나는 자신만의 주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인데요. 이렇게 준동사의 동작을 하는 주체를 그 준동사의 "의미상의 주어"라고 합니다.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문장에 이미 그 동작의 주체가 나와 있는 경우, 혹은 그 동작의 주체가 일반인이거나 모호해서 따로 써 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생략됩니다. 즉, to 부정사의 동작의 주체가 문장의 주어와 동일한 경우(예문 1), 그 주체가 문장의 목적어와 동일한 경우(예문 2), 또는 일반인이거나 모호한 경우(예문 3)라면 따로 의미상의 주.. 2024. 6. 18.
June 29, 1999 -David Wiesner 한동안,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북한발 오물풍선이 또다시 부양하고 있다는 안전 안내 문자가 왔습니다. 무언지 모를 수상한 물건을 매단 채, 군사분계선을 넘고 비무장 지대를 건너 서울 어딘가에 까지 도달한 그 커다랗고 하얀 풍선들의 사진을 본 순간, 제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David Wiesner의 "June 29, 1999"라는 그림책이었더랬습니다. 책장에서 그림책을 찾아 표지를 보여주면서 북한의 오물풍선 얘기를 하자, 가족들은 기가 막힌 듯한 표정을 짓고 어떻게 그 두 가지를 연결시키냐는 반응이었지만, 두 이미지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는 것까진 부인하지 못하더군요.   아직 인류가 하늘을 나는 기술을 갖지 못하던 시절부터, 풍선은 하늘을 향해 날아올랐고, 아이들의 손에 손에 쥐어진 꿈과 즐거움의.. 2024. 6. 10.
too~to 부정사, enough to 부정사와 so~that 구문 부정사 챕터에서 챕터 전체의 내용을 아우르는 용법 문제를 제외하고, 중등 내신시험에 가장 많이 출제되는 부분을 뽑으라면, 단연 too~to 부정사, enough to 부정사를 so~that 구문으로 전환하는 문장전환문제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많은 중등 교과서에서 단원 내 문법사항으로 자주 출제되는 이 부분은 많이 어렵지는 않지만, 여기저기 실수를 유발하는 부분이 있어서 주의해야 하지요. 이 포스팅을 함께 보면서 이번에 정확히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too ~ to 부정사" 구문과 "enough to 부정사" 구문은 우선 그 뜻과 어순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too ~ to 부정사" 구문은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또는 "~하기에는 너무 ~하다"의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 2024. 6. 9.
[어원 에세이] Good-bye / Farewell 올봄과 여름에는 외국에 살고 있는 친구들이 약속이라도 한 듯 고국방문을 하네요. 시애틀에 살고 있는 고등학교 때 친구, 영국에 살고 있는 대학 친구, 또 텍사스에 살고 있는 또 다른 고등학교 친구... 몇 년에 한 번씩 들어오던 친구들의 스케줄이 어찌 겹친 건지 2,3주 간격으로 한 명씩 입국해서 그 귀한 얼굴을 보여주어 즐거운 만남을 갖고 있습니다. 생활의 터전이 그 곳에 있다 보니 한국에 자주 들어오지 못하는 이 친구들은 2,3주라는 짧은 시간 안에 그동안 못 만났던 친구들을 만나고, 가족과 친지들을 챙기고, 한국서 하고 싶었던 것들을 몰아서 하느라 엄청 바쁜 일정을 소화하곤 합니다. 그래서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와 있는 동안 두 번 만나면 많이 만나는 것이 되지요. 그리고, 대부분 "나 이제 공항이.. 2024. 6. 8.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영어에서 부사(adverbs)는 수식어구로서 문장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부사의 용법으로 사용되는 to 부정사도 다양한 뜻을 문장에 부여하며, 그 뜻에 따라 크게 한 6가지 정도의 용법으로 다시 세분할 수 있습니다. 1. 목적 to 부정사의 용법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법은 아마도 부사적 용법의 목적이 아닐까 생각될 정도로 자주 사용되는 용법입니다. "~하기 위해, ~하도록"의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 부사적 용법의 to 부정사는 문장의 제일 앞이나, 뒤에 위치해서 그 문장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알려줍니다. The students held a fund-raiser to help the poor in their community.그 학생들은 그들 지역의 가난한 이들을 돕기 위해 모.. 2024. 6. 4.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영어에서 형용사(adjectives)는 두 가지의 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명사를 수식하는 한정적 용법이고, 다른 하나는 보어의 역할을 하는 서술적 용법이지요. 따라서, to 부정사가 형용사적 용법으로 쓰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명사를 수식하는 용법(한정적 용법)과 보어로 쓰이는 용법(서술적 용법)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o 부정사가 형용사적 용법으로 쓰일 경우의 이 두 가지 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명사를 수식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가장 일반적인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to 부정사는 명사의 뒤에 위치하며 "~할, ~하는"의 뜻으로 명사를 수식합니다. 앞서 명사적 용법에서 말한 바와 같이 to.. 2024. 6. 3.
[어원 에세이] Episode 이무진이라는 젊은 가수의 노래 중에 "Episode"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TV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던 중, 제대로 녹음된 버전이 아니라 가수가 기타 한 대로 흥얼거리듯 노래하는 버전으로 처음 듣게 되었지요. 반주가 단순해서였을까요? 잔잔히 이야기하듯 펼쳐지는 가사가 살짝은 가슬가슬한 가수의 목소리에 실려 명료하게 들리더라고요.  우리의 에피소드가 찬란하게 막을 연다배경은 너의 집 앞, 첫 데이트가 끝난둘만의 에피소드가 참 예쁜 얘기로 시작자작자작, 조심스런 대화, 그새 늦은 시간-이무진 "에피소드"  "Episode"라는 제목은 우리가 외래어로 일상 중에 많이 사용하는 영어로, 우리말에 섞여 사용될 때는 주로 "일화, 재미있는 짧은 이야기"정도의 뜻으로 사용되지요. 하지만, 이 뜻은 단어의 가장 일반적.. 2024. 5. 27.
부정사(infinitive)의 형태와 명사적 용법 준동사 중 부정사(infinitive verbs)는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to 부정사"와 "to"가 없이 동사원형만으로 이루어진 "원형 부정사"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중 to 부정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의 용법으로 사용되지만, 이름에서 엿볼 수 있듯이 문장 속에 사용되어 그 역할이 정해지기 전에는, 명사, 형용사, 부사 중 어떤 품사로 사용될지 정해지지 않습니다. 또한, 부정사는 어떤 용법으로 사용되건 그 형태는 동일하기 때문에 용법 구분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o 부정사의 다양한 형태를 알아보고 여러 용법 중 명사적 용법으로 쓰일 경우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to 부정사는 어떤 형태를 취하는가? to 부정사의 기.. 2024. 5. 26.
준동사(Non-finite Verbs)란 무엇인가? 영문법에서는 부정사, 동명사, 분사를 준동사(nonfinite verbs)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 준동사라는 말이 무슨 의미인지, 왜 이들이 준동사라는 하나의 용어 하에 묶이는지 정확히 이해하는 학생은 드뭅니다. 따라서,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들 준동사를 관통하는 특징 및 용례를 살펴봄으로써, 중, 고등문법의 꽃이라고 불릴 수 있는 부정사, 동명사, 분사에 대한 세부사항을 공부하기 전에 이들이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보려고 합니다. 준동사는 무엇인가?준동사는 "Non-finite Verbs(비정형 동사)" 즉 형태가 정해지지 않는 동사라는 뜻으로 동사의 형태에 주어의 수, 인칭, 시제, 태, 법 등이 나타나지 않는 동사를 의미합니다. 그 반대 개념은 ".. 2024. 5. 24.
A Bad Case of Stripes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자신이 독립적이라고 생각하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똑같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들 대부분은 남의 시선을 무척 의식하면서 지내지요. 아이들에게 친구들의 시선과 평가는 세상 무엇보다 중요합니다.여기 새 학년 첫날을 맞은 한 소녀, Camilla Cream이 있습니다. 그녀는 좋은 첫인상을 만들기 위해 아침부터 42벌의 옷을 입어볼 정도로 열성적이지요. 친구들에게 이상한 아이라는 낙인이 찍히지 않으려고 그녀는 자기가 그렇게 좋아하는 lima beans도 안 먹어요.(제정신이라면 누가 그런 콩 따위를 좋아하겠어요.)All of her friends hated lima beans and she wanted to fit in.그녀의 친구들은 모두 리마콩을 싫어했고, 그녀.. 2024. 5. 24.
부정대명사 2: Some / Any / No / None 지난번 부정대명사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정대명사인 some, any, no, none의 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ome과 Any 용법은 어떠한가? (No 용법 포함) Some과 Any는 막연한 수량이나 전체 중의 일부를 나타낼 때 쓰이며, 둘 다 부정대명사이자 부정형용사로 쓰입니다. 둘 다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를 지칭하는 대명사로 쓰일 수 있으며, 부정형용사로서는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를 수식할 수도 있습니다. 이 두 대명사는 이렇게 비슷한 점도 있지만, 사용하는 경우가 정확히 나눠져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서로 바꿔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정확한 용례를 비교해서 확인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1. Some Some은 주로 긍정문에 "약간의 것, 몇몇"의 뜻으로 사용될 수.. 2024. 5. 21.
[어원 에세이] MBTI: Intuition vs. Sensing MBTI의 각 지표에 대한 어원을 살펴보는 시리즈의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MBTI의 두 번째 지표인 직관형(iNtuition)과 감각형(Sensing)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두 번째 지표는 인식의 기능에 관련된 지표로 사람이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여 해석하는 가에 관한 지표입니다. 오감이 주는 정보와 본인의 경험에 기초하여 정보를 판단하는 사람은 감각형(S)의 사람이고, 미래보다는 현재에 집중하며 현실적인 면모를 보입니다. 반면, 직관형(N)인 사람은 상황의 세부사항보다는 본인의 직감에 의존하여 판단을 내리고 미래중심적이며, 이상적이고 추상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직관이라는 뜻을 가지는 영어 단어인 "intuition"은, 15세기 무렵 주로 신학적인 용어로 "통찰력, 직접적.. 2024. 5. 19.
부정대명사(Indefinite Pronouns) 1: One / Another / Other 영문법 용어 중에는 "부정"이라는 단어가 두 개 존재합니다. 하나는 "긍정"의 반대 개념의 "부정, " 즉, "negative"를 뜻하는 말로, 부정문, 부정어, 부분 부정 등의 표현에 사용되는 "그렇지 않음"을 뜻하는 단어이고, 다른 하나는 "정해지지 않은"을 뜻하는 "부정" 즉 "indefinite"를 뜻하는 경우입니다. 부정사, 부정관사, 부정대명사에 쓰이는 부정이 바로 이런 뜻이지요.따라서, 부정대명사는 무엇인지 정해지지 않은 것을 지칭하는 대명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누구인지 또는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으면서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하지요. 영어에는 생각보다 많은 부정대명사들이 있는데요. one, another, other, some, any, all, both, much, ma.. 2024. 5. 18.
The Dot 미술시간이 끝났습니다. 어린 소녀 Vashti는 여전히 텅 빈 자신의 종이를 앞에 두고 자리를 뜰 줄 모르죠. 그녀의 현명한 선생님은 농담을 던집니다."Ah! A polar bear in a snow storm." "아! 눈보라 속의 북극곰이구나." Vashti는 선생님 앞에서 선언하죠. "전 그림을 그릴 줄 몰라요!"  하지만, 선생님은 지나가는 말처럼 충고 한마디를 슬쩍 던집니다. "Just make a mark and see where it takes you.""그냥 자국을 내 봐. 그리고 그것이 너를 어디로 이끄는지 보자꾸나." 화가 날대로 난 소녀는 마커를 가져다 종이 위에 세게 점을 찍고는 "There!"를 외치죠. 그 작은 점을 본 선생님은 소녀에게 그 그림에 서명을 해 달라고 합니다.  다.. 2024. 5. 15.
지시대명사 this/that 지시대명사(demonstrative pronouns)는 한문으로 " 指 示"라고 쓰며, "손가락 지(가리킬 지), 보여줄 시"의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여주는" 대명사라는 뜻으로 앞에 나온 무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혹은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 물체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대명사를 뜻합니다. 우리가 보통 "이것, 저것, 그것"등으로 해석하는 "this(these)"와 "that(those)"가 대표적인 지시대명사이지요. 지시대명사의 용법은 무엇인가? 1.지시대명사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 물건을 가리킬 때 쓴다는 것입니다. "this"는 화자의 가까이에 있는 것을 가리킬 때, "that"은 화자로부터 멀리 있는 물건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각각 "이.. 2024. 5. 14.
[어원 에세이] Aurora 어제부터 오늘까지, 21년 만의 초강력 "태양 폭풍"이 지구의 자기장을 혼란시키고 있습니다. "지자기 폭풍(Geomagnetic Storm)"이라고도 불리는 이 폭풍은 태양의 흑점폭발과 코로나 질량 방출의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태양으로부터 오는 코로나 물질이 지구상의 자기장에 영향을 미쳐, 전력망 마비, GPS 혼란, 인공위성 운영 장애등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죠. "태양 폭풍"은 자기장 관련한 여러 가지 장애를 일으킬 수 있지만, 또한 아주 아름다운 부작용을 낳기도 합니다. 오로라(aurora)가 그것이죠. "극광"이라고도 불리는 "aurora"는 보통은 북극이나, 남극지방에서 관측되는 것으로, 지구 자기장에 의해  극지방으로 모여든 태양풍이 지구의 대기 입자와 충돌하여 방전하면서 형형색색으로 빛을 .. 2024.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