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용사, 부사의 비교급, 최상급 (Comparative/Superlative)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이야기

형용사, 부사의 비교급, 최상급 (Comparative/Superlative)

by Ms. Sue 2024. 11. 24.
반응형

 

영어 단어는 각 품사 별로 독특한 변형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명사는 단수, 복수형이 있고, 동사에는 시제 변형과 태 변형이 있는 것처럼요. 오늘 정리하게 될 형용사와 부사의 변형 형태는 비교급(comparative)과 최상급(superlative)입니다. 비교급은 2개의 개체를 비교할 때 주로 사용되는 형태이고, 최상급은 3개 이상의 개체가 있을 때 그중에서 가장 우월한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형태이지요.

 

물론, 모든 형용사와 부사가 비교급, 최상급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로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부사는 비교급, 최상급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지만, 범주를 나타내는 형용사나 부사는 이들 형태로 변형되지 않지요. 우리는 비교급, 최상급으로 변형되는 형용사, 부사를 "qualifying" 또는 "comparable"하다고 말하고, 이들 변형이 불가능한 경우를 "classifying", 또는 "non-comparable" 하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성질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형용사나 부사는 그 정도의 차이에 따라 비교가 가능하지만(예문 1) 범주를 나누기 위해 사용되는 형용사나 부사는 정도 차이를 나타낼 수 없으므로 비교 표현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지요.(예문 2) 

1. He is faster at everything than his colleagues.
    (그는 모든 면에서 동료들보다 빠르다)
    faster는 "빠른"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비교표현 가능

2. This plant is deader than that plant.
    dead는 "죽은"의 뜻으로, 죽은 것과 죽지않은 것 사이의 범주를 구분하는 형용사. 비교표현 불가능

 

 

그럼 이제 비교 표현이 가능한 형용사와 부사의 비교급, 최상급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음절 형용사, 부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1음절 형용사, 부사의 경우, 비교급을 만들 때는 원래 단어(이를 원급이라고 부릅니다)에 "~er"을 붙이고, 최상급을 만들 때는 "~est"를 붙입니다. 이때 발음의 용이함을 위해서 형태가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원급이 "~e"로 끝나는 경우, 비교급은 "~r" 최상급은 "~st"만 붙입니다.

cute - cuter - cutest  /  late - later - latest

 

2. 원급이 "단모음 + 단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마지막 자음을 한번 더 쓰고 "~er" "~est"를 붙입니다. 

thin - thinner - thinnest / hot - hotter - hottest

 

3. 원급이 "자음 + y"로 끝나는 경우, "y"를 탈락시키고 "~ier" "~iest"를 붙입니다.

    이것은 2음절 형용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당됩니다.

shy - shier - shiest / happy - happier - happiest

 

 

2음절 형용사, 부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2음절의 형용사, 부사의 경우 "~er" "~est"를 붙이는 경우와 원급 앞에 "more" "most"를 붙이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볼 수 있습니다.

 

1. "~y" "~er" "~re" "~ow" 로 끝나는 2음절 형용사의 비교급, 최상급은 "~er" "~est"를 붙입니다. 

"~y"로 끝나는 형용사: friendly - friendlier - friendliest  / lovely - lovelier - loveliest
"~er"로 끝나는 형용사: clever - cleverer - cleverest
"~re"로 끝나는 형용사: severe - severer - severest
"~ow"로 끝나는 형용사: narrow - narrower - narrowest

 

"~er" "~est"를 붙여서 비교급, 최상급을 만드는 거의 모든 단어는 형용사로, 이와 달리 부사는 대부분 "more" "most"를 붙여 비교표현을 만듭니다. 특히 "~ly"로 끝나는 2음절 형용사들과 부사를 구분하세요. "friendly, lovely, costly, lonely"와 같이 "~ly"로 끝나지만 형용사인 단어들은 "~er" "~est"를 붙여 비교표현을 만듭니다.

 

2. 그 외의 모든 2음절 형용사, 부사는 "more" "most"를 붙여 비교급, 최상급을 만듭니다.

 

3음절 이상의 형용사, 부사의 비교급과 최상급은 무조건 "more" "most"를 붙여서 비교급, 최상급을 만듭니다.

 

아래에 반드시 "more" "most"를 붙여서 비교급, 최상급을 만드는 경우를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3음절 이상의 형용사, 부사 important - more important - most important
 "~ful / ~ous / ~less / ~ish / ~ive"등의 형용사 어미로 끝나는 형용사 beautiful - more beautiful - most beautiful
curious - more curious - most curious
useless - more useless - most useless
foolish - more foolish - most foolish
creative - more creative - most creative
"~ing / ~ed" 등으로 끝나는 분사형 형용사 tired - more tired - most tired
exciting - more exciting - most exciting
"~ly" 로 끝나는 부사 easily - more easily - most easily

 

 

불규칙 비교급, 최상급

 

영어에서 불규칙 비교급, 최상급은 많지 않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간단히 숙지할 수 있지요.

원급 비교급 최상급 원급 비교급 최상급
good better best 좋은 little less least 작은
well far farther farthest
bad worse worst 나쁜 further furthest 심화된
ill 나쁜/아픈 late later latest 늦은(시간)
badly 나쁘게 latter last 뒤의(순서)
many more most 수가 많은 old older oldest 나이 든
much 양이 많은 elder eldest 손위의

 

 

위의 불규칙 비교표현을 사용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습니다.

 

우선, 각기 다른 여러 개의 단어가 같은 비교급과 최상급을 사용하는 경우, 가끔 원급이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하는 문법 문제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better / best"는 원급이 형용사인 "good"와 부사인 "well" 둘 다 가능하지요. 이때 비교표현의 형태가 같기 때문에 이 비교급 혹은 최상급이 문장에서 형용사로 쓰이는지 부사로 쓰이는지는 문장을 보고 알아내야 합니다. 이때는 "better"를 "good" 또는 "well"로 대체해 보고 어느 쪽이 적합한지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이지요.

He speaks much better than his brother.
(그는 그의 형보다 훨씬 말을 잘한다)
"He speaks well"이 적합하므로 이때의 "better"는 부사임.

It has much better conditions than the previous contract.
(그것은 이전의 계약보다 훨씬 나은 조건들을 가지고 있다.)
"It has good conditions"가 적합하므로 이때의 "better"는 형용사임

 

두번째로 "late"나 "far"같이 2종류의 비교표현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해석을 통해 둘 중 어떤 비교표현이 더 적합한 지 따져야 합니다. 

He alwasy keeps track of the [latest / last] trend in his field.
(그는 항상 자기 분야의 최신 경향을 파악하고 있다)
"최신의"라는 뜻이 적합하므로 "latest"가 옮음.

Among the two proposals, I prefer the [later / latter] because it is more practical.
(두 개의 제안 중, 나는 후자가 더 실용적이기 때문에 선호한다.)
"후자"라는 뜻이 적합하므로 "latter"가 옮음.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들 비교표현을 이용한 동등비교, 비교급 비교표현, 최상급 비교 표현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