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완료 시제와 미래완료 시제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이야기

과거완료 시제와 미래완료 시제

by Ms. Sue 2024. 3. 29.

완료 시제는 단순 시제와는 달리 한 순간이 아니라 일정 기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시제라는 것은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과거완료 시제와 미래완료 시제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과거완료 시제는 과거의 어떤 시점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사건이 과거의 그 시점까지 연결되는 이야기이고, 미래완료 시제는 미래의 어떤 시점보다 이전에 일어난 사건(이 사건은 미래의 그 시점보다 과거이기만 하면, 현재 기준으로 과거의 사건일 수도 있고, 현재 또는 미래의 사건일 수도 있습니다)이 미래의 그 시점까지 연결되는 이야기이지요. 과거완료 시제와 미래완료 시제는 현재완료 시제와 마찬가지로 완료, 결과, 경험, 계속의 4가지 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용법 해석 함께 쓰이는 키워드
완료 방금 끝냈다
(기준 시점에 일어난 일의 완료)
just, already, yet, finished
결과 ~해 버렸다
(이전 사건의 결과가 기준 시점까지 지속)
gone, left, come, lost, bought 
경험 ~한 적 있다
(기준 시점까지의 경험 총합)
ever, never, before, once, twice, # times 
계속 ~해 왔다
(이전부터 기준시점 까지 동작지속)
for + 시간의 길이 / since + 과거의 시점

 

 

과거완료 시제의 형태와 용법은 무엇인가?

 

과거완료 시제의 형태는 "had + p.p"이며, 이때 "had"가 조동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정문과 의문문은 "had"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형태로 만듭니다.

과거완료 긍정문   주어 + had + 과거분사 ~
과거완료 부정문   주어 + hadn't + 과거분사 ~
과거완료 의문문 (의문사)  Had  + 주어 + 과거분사 ~  ?

 

과거완료는 기본적으로 과거의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하며 그 이전에 첫 번째 사건이 일어나고 그 사건의 결과 혹은 그 사건 자체가 기준이 되는 과거 시점까지 계속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과거보다 이전의 사건이 일어난 시점부터 과거의 기준 시점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과거완료의 용법은 현재완료의 용법과 같고, 그 키워드들도 유사하지만 "대과거"라는 5번째 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과거"는 어떤 과거 기간 중에 일어난 행위라기보다는 그저 과거의 기준 시점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사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완료 용법 중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완료: The train had already left when we arrived at the station.
        (우리가 역에 도착했을 때, 그 기차는 벌써 떠났었다.)
결과: He had lost the key so he couldn't go into his own house.
         (그는 열쇠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그의 집에 들어갈 수 없었다.)
경험: I had read the book twice but I wanted to read it third time.
         (나는 그 책을 두번 읽을 적 있었지만, 세 번째로 읽기를 원했다.)
계속: She had worked for the company for 30 years when she retired.
         (그녀가 퇴직했을 때, 그녀는 그 회사를 위해 30년동안 일해왔었다)
대과거: I lost the book that you had given to me. (나는 네가 나에게 주었던 책을 잃어버렸다.)

 

위의 대과거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내가 네가 준 책을 잃어버리기 위해선 잃어버리는 시점보다 네가 그 책을 나에게 주는 시점이 당연히 더 먼저여야 하며 이 경우에 쓰이는 과거완료 시제를 "대과거"용법이라고 하는 것이죠.

 

미래완료 시제의 형태와 용법은 무엇인가?

 

미래완료 시제의 형태는 "will have + p.p"이며, 이때 "will"과 "have"는 둘 다 조동사의 역할을 하지만, 부정문과 의문문은 그중 첫 번째 조동사인  "will"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형태로 만듭니다. 

미래완료 긍정문   주어 + will have  + 과거분사 ~
미래완료 부정문   주어 + won't have + 과거분사 ~
미래완료 의문문 (의문사)  Will  + 주어 + have 과거분사 ~  ?

 

미래완료 시제 역시 완료, 결과, 경험, 계속 용법을 다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과거에 시작된 사건 혹은 그 결과가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 지속되는 경우의 이야기를 합니다. 미래완료 시제에는 "by the time + S + V(S가 V 할 때가 되면)" 또는 "by + 미래시간부사(~때까지)"로 표시되는 시간부사구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완료: The job will have been finished by the same time tomorrow.
경험: I will have been to Jeju-do three times if I go there again.
계속: We will have been married for 30 years by next yea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