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사실 우리가 일상 속에서 영어로 알고 쓰는 표현 중에 잘못된 표현이 가장 많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일명 "콩글리쉬(Konglish, broken English)"라고 불리는 그 표현들은 영어처럼 들리고, 실제로 영어 단어로 이루어진 표현이기에 당연히 우리가 사용하는 그 뜻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착각하게 되는 것이죠. 이번 포스팅들에서는 이렇게 한국인들이 잘못 쓰고 있는 영어 표현들을 범주별로 나누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집"이라는 표현을 영어로 할 때, "home"과 "house"를 혼동해서 씁니다. 영어로 "home"이라고 하면, 정서적인 "나의 주거공간"이라는 뜻으로, 단독주택도 아파트도 빌라도 원룸도 "home"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house"는 정말 "단독 주택"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파트, 빌라, 원룸 등은 "house"라고 쓸 수가 없지요.
문법적으로도 이 두 단어는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요. "home"은 명사로도 쓰이지만 "집으로"라는 뜻의 부사적 용법으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집에 가다, 집에 오다"를 영작할 경우, "go to home"이나 "come to home"은 틀린 표현이고, "go home" 또는 "come home"으로 부사적인 "home"을 써서 사용해야 합니다. 반면 "house"는 가산명사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go to the house" 또는 "come to my house"처럼 전치사 "to"와 한정사를 사용해서 문장을 만들어야 하지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home"과 "house"의 경우처럼, 우리가 주생활 관련하여 쓰는 영어 중에 잘못된 표현을 찾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한 건물 안에 여러 가구가 개별적인 거주 공간을 가지고 거주하는 "아파트(apart)"는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 공간 중 하나이지요. 그런데, 이 "아파트"라는 표현이 가장 대표적으로 잘못된 영어 표현이기도 한데요. 원어민들에게 "apart"는 "떨어져서"라는 뜻의 부사로, 거주 공간인 아파트는 "apartment"라고 해야 합니다.
또, 아파트 동, 아파트 단지를 뜻하는 영어 표현도 다 다르지요. 학생들은 "우리는 같은 아파트에 산다"라는 뜻으로 "We live in the same apartment."라고 하는데, 이것은 같은 아파트 호수에 산다는 뜻으로 동거인이라는 뜻이 되어 버립니다. 아파트의 같은 동에 사는 경우, "We linve in the same apartment building."으로,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산다는 뜻일 때는, "We live in the same apartment complex."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또, OO아파트 #동에 산다는 표현은 "I live in Building # of the OO apartment complex."라고 표현하지요.
또 다른 주거 공간인 "빌라(villa)"도 잘못된 표현이긴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식의 빌라는 영어로는 "small apartment building" 또는 "townhouse"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원어민에게 "villa"는 "고급 휴양지에 있는 대저택" 또는 "부유층이 사는 큰 저택"을 의미하거든요. "원룸(one-room)"도 원어민들은 "studio apartment"라고 부릅니다.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오피스텔(officetel)"도 마찬가지로 "studio apartment"로 부르던지, 아니면 "serviced apartment"라고 불러야 하지요.
부동산에 가 보면 많이 볼 수 있는 표현인 "투룸(two=room)" "쓰리룸(three=-room)"도 사실은 "two-bedroom apartment" "three-bedroom apartment"로 부르는 것이 맞습니다. 왜냐하면 욕실(bathroom), 거실(living room), 식당(dining room)도 영어로는 다 "~room"이기 때문에 보통 침실의 개수가 중요한 것이거든요. "풀옵션(full option)"이라는 표현도 원어민은 이해하지 못할 표현인데요. 그들은 "fully furnished"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드레스룸(dress room)"도 그들은 쓰지 않는 표현이네요. 드레스룸이 아무리 커도 "walk-in closet"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시설들도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요. 우선 난방시스템인 "보일러(boilder)"는 한국식 표현으로 "heating system" 또는 "water heater"라는 표현이 더 적절합니다. 요즘은 천장에 매립된 형태로 자주 설치되는 "에어컨(air-con)"도 그들은 "air conditioner" 또는 줄여서 "AC"라고 부릅니다. 요즘은 아파트나 빌라, 혹은 개인주택에도 자주 설치되는 감시카메라는 우리가 흔히 쓰는 표현인 "CCTV" 보다는 "security camera"라는 표현을 자주 씁니다. 사실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전체를 의미하며 카메라뿐만 아니라 그것을 모니터 하고 녹화하는 전체 시스템을 의미하죠. 주로 큰 빌딩이나 공공시설에 설치된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의미할 때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 개인들이 설치하는 개별 감시카메라를 지칭할 때는 "security camera" 또는 "surveillance camera" 라는 표현이 더 자주 쓰이지요. 또 감시카메라에서 녹화된 영상은 "security footage"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위에서 나온 주거 공간 관련 표현들을 아래에 표로 정리해 두었습니다. 숙지하여 원어민들과의 대화에서 서로 오해를 사는 경우를 막아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의도된 뜻 | 잘못된 콩글리쉬 | 원어민이 사용하는 표현 |
아파트 | apart | apartment |
아파트 동 | apart | apartment building |
아파트 단지 | apart | apartment complex |
빌라 | villa | small apartment building / town house |
원룸 | one room | studio apartment |
오피스텔 | offcetel | studio apartment / serviced apartment |
투룸 | two-room | two-bedroom apartment |
쓰리룸 | three-room | three-bedroom apartment |
풀옵션 | full option | fully-furnished |
드레스룸 | dress room | walk-in closet |
보일러 | boiler | heating system / water heater |
에어컨 | air-con | air conditioner / AC |
CCTV | CCTV | security camera / surveillance camera |
'한국인이 헷갈리는 영어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이 헷갈리는 영어 5. 자동차의 바퀴가 다섯 개라구? (0) | 2025.04.08 |
---|---|
한국인이 헷갈리는 영어 표현 2: 카페에서 쓰는 콩글리쉬 (1) | 2025.02.13 |
한국인이 헷갈리는 영어 표현 1: 의류와 패션 (0) | 2025.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