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6 [어원 에세이] MBTI: Intuition vs. Sensing MBTI의 각 지표에 대한 어원을 살펴보는 시리즈의 두 번째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MBTI의 두 번째 지표인 직관형(iNtuition)과 감각형(Sensing)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두 번째 지표는 인식의 기능에 관련된 지표로 사람이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여 해석하는 가에 관한 지표입니다. 오감이 주는 정보와 본인의 경험에 기초하여 정보를 판단하는 사람은 감각형(S)의 사람이고, 미래보다는 현재에 집중하며 현실적인 면모를 보입니다. 반면, 직관형(N)인 사람은 상황의 세부사항보다는 본인의 직감에 의존하여 판단을 내리고 미래중심적이며, 이상적이고 추상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직관이라는 뜻을 가지는 영어 단어인 "intuition"은, 15세기 무렵 주로 신학적인 용어로 "통찰력, 직접적.. 2024. 5. 19. 부정대명사(Indefinite Pronouns) 1: One / Another / Other 영문법 용어 중에는 "부정"이라는 단어가 두 개 존재합니다. 하나는 "긍정"의 반대 개념의 "부정, " 즉, "negative"를 뜻하는 말로, 부정문, 부정어, 부분 부정 등의 표현에 사용되는 "그렇지 않음"을 뜻하는 단어이고, 다른 하나는 "정해지지 않은"을 뜻하는 "부정" 즉 "indefinite"를 뜻하는 경우입니다. 부정사, 부정관사, 부정대명사에 쓰이는 부정이 바로 이런 뜻이지요.따라서, 부정대명사는 무엇인지 정해지지 않은 것을 지칭하는 대명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누구인지 또는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으면서 사물이나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하지요. 영어에는 생각보다 많은 부정대명사들이 있는데요. one, another, other, some, any, all, both, much, ma.. 2024. 5. 18. The Dot 미술시간이 끝났습니다. 어린 소녀 Vashti는 여전히 텅 빈 자신의 종이를 앞에 두고 자리를 뜰 줄 모르죠. 그녀의 현명한 선생님은 농담을 던집니다."Ah! A polar bear in a snow storm." "아! 눈보라 속의 북극곰이구나." Vashti는 선생님 앞에서 선언하죠. "전 그림을 그릴 줄 몰라요!" 하지만, 선생님은 지나가는 말처럼 충고 한마디를 슬쩍 던집니다. "Just make a mark and see where it takes you.""그냥 자국을 내 봐. 그리고 그것이 너를 어디로 이끄는지 보자꾸나." 화가 날대로 난 소녀는 마커를 가져다 종이 위에 세게 점을 찍고는 "There!"를 외치죠. 그 작은 점을 본 선생님은 소녀에게 그 그림에 서명을 해 달라고 합니다. 다.. 2024. 5. 15. 지시대명사 this/that 지시대명사(demonstrative pronouns)는 한문으로 " 指 示"라고 쓰며, "손가락 지(가리킬 지), 보여줄 시"의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여주는" 대명사라는 뜻으로 앞에 나온 무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 혹은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 물체를 가리킬 때 사용하는 대명사를 뜻합니다. 우리가 보통 "이것, 저것, 그것"등으로 해석하는 "this(these)"와 "that(those)"가 대표적인 지시대명사이지요. 지시대명사의 용법은 무엇인가? 1.지시대명사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가까이 있거나 멀리 있는 물건을 가리킬 때 쓴다는 것입니다. "this"는 화자의 가까이에 있는 것을 가리킬 때, "that"은 화자로부터 멀리 있는 물건을 가리킬 때 사용하고, 각각 "이.. 2024. 5. 14. [어원 에세이] Aurora 어제부터 오늘까지, 21년 만의 초강력 "태양 폭풍"이 지구의 자기장을 혼란시키고 있습니다. "지자기 폭풍(Geomagnetic Storm)"이라고도 불리는 이 폭풍은 태양의 흑점폭발과 코로나 질량 방출의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태양으로부터 오는 코로나 물질이 지구상의 자기장에 영향을 미쳐, 전력망 마비, GPS 혼란, 인공위성 운영 장애등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죠. "태양 폭풍"은 자기장 관련한 여러 가지 장애를 일으킬 수 있지만, 또한 아주 아름다운 부작용을 낳기도 합니다. 오로라(aurora)가 그것이죠. "극광"이라고도 불리는 "aurora"는 보통은 북극이나, 남극지방에서 관측되는 것으로, 지구 자기장에 의해 극지방으로 모여든 태양풍이 지구의 대기 입자와 충돌하여 방전하면서 형형색색으로 빛을 .. 2024. 5. 12. Leo, the Late Bloomer 우리말에 "대기만성( 大器晩成 )"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큰 그릇은 오랜 시간에 걸쳐 완성된다"는 뜻으로 큰 일을 할 사람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완성되므로 그 성공에 시간이 걸린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비슷한 표현으로 영어에는 "late bloomer"라는 말이 있습니다. 직역하면 "늦게 꽃피는 사람"이라는 뜻이지요. 꼬마 호랑이 Leo는 제대로 할 줄 아는 것이 없습니다. 제대로 읽을 줄도, 쓸 줄도, 그릴 줄도, 밥을 깔끔하게 먹을 줄도 모르지요. 심지어 말을 한 마디도 못 하는 것이었어요. Leo의 아빠는 걱정이 됩니다. 하지만, Leo의 엄마는 천하태평이네요. 그녀는 말해요. Leo는 그저 늦게 꽃피는 아이일 뿐이에요..."Better late than never," thought Le.. 2024. 5. 12. It의 용법 "it"은 앞 포스팅에서 본 것과 같이 3인칭 단수의 사물 또는 동물 명사를 받을 때 사용하는 인칭대명사로 보통 우리는 "그것"으로 해석합니다. 하지만, "it"에는 인칭대명사의 용법 이외에 많은 다른 용법들이 존재하지요. 오늘은 "it"의 모든 용법을 총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It의 용법은 무엇인가? 1."it"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인칭대명사로서의 용법으로, 앞에 등장한 명사를 가리키면서, "그 것"으로 해석됩니다. "it"은 주로 3인칭의 단수 사물 또는 동물을 가리키지만, 성별을 알 수 없는 영유아를 가리킬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반면에, 동물의 경우에도 암수 구별이 가능한 경우에는 it대신 he/she를 사용합니다) "it"은 또한 명사가 아닌 앞 문장이나 구, 절을 가리.. 2024. 5. 12. A Chair for My Mother 반짝반짝하는 파란색 페인트로 칠해진 간이식당 Blue Tile Diner에서는 한 어린 소녀의 엄마가 일하고 있습니다. 방과후면 그 소녀, Rosa는 엄마가 일하는 식당에 들러서 간단한 심부름을 하고 용돈을 벌기도 하죠. 엄마가 받은 팁과, 소녀가 번 잔돈들, 그리고, 함께 사는 할머니가 장 보다가 아낀 동전들은 모두 짤랑짤랑 소리를 내며 소녀의 집에 있는 커다란 유리병 속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 커다란 유리병이 가득 차게 되면...When we can't get a single other coin into the jar, 우리가 그 병속에 동전을 하나도 더 넣을 수 없게 되면,we are going to take out all the money and go and buy a chair..... 2024. 5. 10. [어원 에세이] MBTI: Extrovert vs. Introvert 요즘 대화를 하게 되면, 단연 인기 있는 화제 중 하나는 아마도 MBTI라고 불리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가 아닐까 합니다. 한때 유행했던 혈액형별 성격유형에 비해 과학적 근거도 갖추고 있는 데다가 본인이 자신의 성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로 나오는 지표이다 보니, 본인의 혹은 상대방의 자아상에 대해 파악하는 데에는 상당히 유용한 지표라고도 할 수 있죠. MBTI는 2개의 태도 지표( 외향-내향 / 판단-인식)와 2개의 기능 지표( 감정-사고, 감각-직관)에 대한 개인의 성향 및 선호를 판단하여 4개의 알파벳으로 각 개인의 성향을 나타내어 줍니다. 따라서 총 16개의 성격유형으로 전체 인구를 분류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죠. 학생들도 MBTI에 .. 2024. 5. 8. 인칭대명사의 격변화 / 재귀대명사 영어의 대명사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 분류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지만, 문법을 익힐 때의 편의를 생각해서 크게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의문대명사, 관계대명사의 5가지로 나눠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물론 재귀대명사나 소유대명사를 따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칭대명사 안에 재귀대명사와 소유대명사를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칭대명사는 무엇인가? 인칭대명사은 "Personal Pronoun"이라는 이름과는 달리 사람뿐만 아니라, 사물도 받는 대명사입니다. 인칭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그리고 그 대명사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며, 이 형태의 변화를 인칭과 성, 수, 격에 따라 정리해 본 것이, 아래의 표입니.. 2024. 5. 7. 관사를 쓰지 않는 경우(무관사 용법) 영어에서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s)는 가산명사의 단수형 앞에 쓰이면서 이 명사가 특정 명사가 아님을 나타냅니다. 반면, 정관사(definite articles)는 가산명사의 단수, 복수형, 불가산명사 앞에 두루 쓰이지만, 이때 수식을 받는 명사는 일반적 명사가 아닌 특정한 명사를 가리킴을 의미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관사를 쓰지 않는 경우는 어떨까요? 원칙적으로 말하면, 가산명사의 복수형과 불가산명사가 일반적 명사를 나타내게 될 경우, 우리는 관사를 붙이지 않습니다. 즉, 아래 예문의 "men"은 일반적인 사람을 나타내기 때문에 관사를 붙이지 않으며, "water" "air"도 일반적 물, 공기를 의미하기 때문에 관사를 붙이지 않습니다. 불가산 명사라 해도 3번째 예문의 경우처럼 특정.. 2024. 5. 5. Piggy Book "누군가를 업어주다"는 영어로 "give somebody a piggyback"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여기 조금 괴상한 표지를 가진 그림책이 있습니다. 한 여성의 등에 다 큰 성인 남성과 아이들 둘까지 세 명이나 켜켜이 업혀있습니다. 업혀 있는 세 명의 표정은 아주 밝고, 이들을 업고 있는 여성의 표정은 어둡지요. 책 제목은 "Piggybook"... 자연스레 "piggyback"이라는 단어가 연상되는 장면이에요. 가끔, 시간과 장소, 문화를 가로질러 특정 표현이 너무나 똑같은 뜻으로 사용되어서 놀라울 때가 있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요즘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인 "~에게 업혀가다"라는 말을 연상시킨 것은 당연한 일이었어요. "무임승차하다, 빨대꽂다, 숟가락 얹다" 등의 표현으로 변주되는 이 말은.. 2024. 5. 4. 정관사의 용법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s)는 명사를 수식하여, 그 명사가 일반적 명사임을 나타내는 반면, 정관사(definite articles)는 명사를 수식하여 그 명사가 특정한 명사임을 나타냅니다. 즉, 정관사로 수식받는 명사는 어떤 하나의 개체를 가리키게 되어 대화하는 사람(혹은 그 글을 읽는 사람)들이 그 명사가 가리키는 것이 무엇인지 특정할 수 있게 됩니다. 부정관사가 가산명사의 단수형 앞에만 오는 것과는 달리 정관사는 불가산명사도 수식할 수 있으며 가산명사의 경우, 단수형, 복수형 모두 수식할 수 있습니다. 해석이 주로 되지 않는 부정관사와 달리 정관사는 "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관사의 용법은 무엇인가?그럼, 정관사가 쓰이는 구체적인 경우들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 2024. 5. 3.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의 용법 영어의 관사(articles)는 명사를 수식하면서 이 명사가 일반적 명사인지 특정한 명사인지를 알려주는 단어입니다. 명사를 수식하기 때문에 관사는 형용사의 일종입니다. 관사는 크게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s)와 정관사(definite articles)로 나눠지며, 이중 부정관사는 a, an의 두 개 단어만을 지칭합니다. 부정관사가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2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우선, 부정관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는 가산 명사이며 단수형입니다. 두 번째로, 이 명사는 어떤 특정 명사가 아닌 일반적 명사입니다. 즉, 가리키는 개체가 하나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것이죠. "부정(indefinite)"이라는 단어가 쓰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영어를 배우는 우리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 2024. 4. 30. [어원 에세이] Solitude Covid 19가 지구를 휩쓸고 간 몇 년 동안, 많은 사람들은 대인관계의 결여로 인한 우울증에 시달렸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굶주린 사람이 음식을 볼 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과 사회관계에서 단절된 사람들이 남들이 서로 어울리는 모습을 볼 때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은 동일하다고 하네요. 그만큼 대인 관계는 우리의 생존에 필수적인 욕구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외로움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수만큼이나 많은 현대인들이 대인공포증에 시달립니다. 그들은 사람들 사이에서 공황장애를 겪고, 전화로 통화하는 것을 두려워하며, 대부분의 인간관계를 스크린 뒤에 숨은 채 온라인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한마디로, 우리는 인간관계가 너무 많아도, 너무 없어도 고통을 겪게 되는 운명이라고 할까요? 어제 유투.. 2024. 4. 30.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제가 어렸을 때, 초등학교에 정수기 따위는 없었죠. 유난히 더운 요즘 같은 봄날, 야외활동이나 체육시간이 끝난 다음에는 모두들 운동장에 있던 학교 수돗가 수도꼭지에 머리를 들이밀고 물을 마시기 일쑤였어요. 가끔 그런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이 수도꼭지에서 원하는 음료가 막 쏟아진다면 어쩔까? 아님 학교 앞 문구점서 팔던 소프트 아이스크림이 수도꼭지에서 흘러나온다면 모두 좋아할 텐데.... 이런 상상은 언어와 문화를 뛰어넘는 게 아닐까요?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 들었던 생각입니다. 평범한 토요일 아침, 어머니는 오렌지 쥬스를 만들고, 할아버지는 팬케이크를 굽고, 남매는 테이블에 앉아 아침밥이 준비되길 기다립니다. 에고, 고양이를 뒤쫓던 강아지가 부엌에 난입했네요. 그 여파로 팬케이크 한 장이 Hen.. 2024. 4. 29. 명사의 복수형 영어에서 복수형을 만드는 방식은 상당히 단순합니다. 사실 살짝 변형이 있다고 해도, 기본적으로는 단수 명사에 "s"를 붙이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니까죠. 사실 여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원래 영어의 복수형은 지금처럼 단순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그때도 "s"를 붙여 복수를 만드는 경우도 있었지만, 정말 다양한 형태의 불규칙 복수형이 난무했었죠. 그런데, 9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영국을 침략했던 Viking들이 이 상황을 바꿔놓았습니다. Viking들은 남의 국가를 침략할 때, 침략지의 국토만 황폐화시킨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지역민들과 혼인을 통한 많은 혈연적 유대를 맺었는데요. 이렇게 문화적으로 혈연적으로 섞이다 보니, 지나치게 복잡한 영어 명사의 복수형이 너무 피곤했던 그들은 단순하고 쉬운 방식으로.. 2024. 4. 28. [ChatGPT] ChatGPT를 이용한 영어회화 연습 기본세팅 Open AI라는 회사에서 2018년에 발표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program인 ChatGPT는 가지고 있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는 물론이고, 획기적으로 다양한 응용과 활용도를 보여주어 전 세계를 놀라게 한 바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몇 초 안 되는 시간에 제공하고, 또 추가 주문에 맞춰 그 데이터를 수정 제공할 수 있는 그 능력은 놀랍다 못해 조금 무서울 지경이었죠.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언어능력은 엄청난 양의 글을 사전 학습한 결과로 생기는데, 역사상 유례없이 많은 양의 정보가 언어의 형태로 매일매일 생성되고 있는 요즘이기 때문에 이런 방식이 더욱 힘을 발휘.. 2024. 4. 27. 불가산명사의 보통명사화 동사는 크게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뉩니다. 물론 다른 분류도 있습니다만, 이것이 가장 많이 쓰이는 분류이지요. 그렇다면 하나의 동사는 딱 잘라서 자동사, 아니면 타동사 이렇게 얘기할 수 있을까요? 안됩니다. 우리 모두 알 듯, 많은 동사들이 자동사면서 동시에 타동사로 사용되니까요. 명사는 크게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로 나뉩니다. 하지만, 동사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명사를 딱 잘라서 이 명사는 가산명사이다, 혹은 이 명사는 불가산명사이다 이렇게 분류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그렇다면, 얼마나 편할까요? ㅠㅠ) 왜냐하면, 많은 명사들이 뜻이 바뀜에 따라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의 성격을 둘 다 가지고 있으며, 심지어 같은 뜻일 때조차도 상황에 따라 가산명사가 되기도 불가산명사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죠. 아래의 예를.. 2024. 4. 26. Owl Moon 브런치 스토리로 글 이전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https://brunch.co.kr/@ms-sue-english/10 2024. 4. 25. 이전 1 2 3 4 5 6 7 다음